안녕하세요 미니빅 입니다.
오늘은 변수, 상수, 자료형, 함수에 대해서 설명하려고 합니다.
이 용어는! 수학 시간에 들어봤을 것 같아요(아주 어린 학생들 아니라면...ㅎㅎ)
우리가 코딩을 하는데, 자주 쓰는 용어 중 하나예요. 최소한 코드를 보면 이 부분이 무슨 기능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봐야 코드를 분석하지 않겠어요? 그렇기에 그 구분 방법을 설명하고자 합니다!
하나씩 보겠습니다. 상수란..? 한글로 얘기하면 값이죠.
1,200,15334 이런 숫자도 있고 "파이썬","coding"과 같은 문자도 있고요.
보통 우리가 새로운 사이트 가입할 때 넣어야 입력해야하는 것들, 그런 것들을 값(상수)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하지만, 우리가 회원가입을 하고 그 사이트를 로그인 할 때마다 내 개인정보를 모두 다시 넣지는 않잖아요?
그 정보는 어딘가에 저장되어 있겠죠? 이런 식으로 값을 어딘가에 저장하는데, 그렇게 저장된 수를 우리는 변수 라고 합니다.
그래서 변수는 일종의 상자처럼 생각하면 편합니다. 수학 시간에 x , y 라고 외웠던 그 값이 코딩에서도 쓰입니다.
하지만, 변수라는 개념을 배우기 전인 초등학교 때는 x, y라고 칭하지않고,
세모, 네모라고 칭했었어요. 그런 것처럼 상자라고 생각하면 좀 더 편합니다.
아래 화면에서 예시를 보여주겠습니다.
위 화면을 보면 10+20으로 해도 30이라는 결과가 나옵니다(주석으로 처리했어요)
하지만 변수 a와 b에 값을 넣어서 출력을 해도 똑같이 30이라는 결과가 나오죠?
(대입은 등호를 통해서 저렇게 하면 됩니다.)
저렇게 값을 대입하면 a는 앞으로 10이 되고, b는 20이 됐습니다. 대입해서 동일시 되는 거죠
이러한 변수는, 값을 무엇을 넣느냐에 따라, 마지막에 명령된대로 적용됩니다. 하여, 위의 화면처럼 a와 b에 새로 대입하게 된다면?
결과는 다르게 나오겠죠?
그럼 함수는 뭘까요? 위의 화면에서 print()와 같은게 함수입니다!
값을 활용하여 어떤 동작을 하는 명령어라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괄호() 가 항상 같이 있기에, 괄호가 있으면 함수다~ 라고 일단 생각해도 좋겠습니다.
그렇다면... 이번엔 자료형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자,Quiz!
200은 숫자인가요 문자인가요?
계속 얘기해보겠습니다.
"coding"은요?
"200"은?
x는?
정답은..? 뒤에 알려드릴게요!
자, 우리는 1+1은 2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coding + python은 가능한가요?
다르게 생각하면 coding + 200은 가능한가요?
아마 안 된다고 하실 겁니다.
왜냐면 더하기라는 기호 자체가 숫자끼리 한다는 전제로 들어가니까요(수학에서는)
우리는 아라비아 숫자로 이루어지면 숫자라고 알고, 그 외에 문자의 형태(한글, 알파벳)의 형태면 문자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python에서도 아라비아 숫자로 이루어지면 숫자로 이루어진 값이라고 압니다.
하지만. 문자는 큰 따옴표("") 또는 작은 따옴표("")로 감싸서 표현해야합니다.
왜냐면, 큰 따옴표나 작은 따옴표가 없는 글자는, 변수로 판단하기로 했기 때문이죠.
우리는 자료형에 대해서 구분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유는 위에서 말했듯이 수학에서 더하기는 숫자끼리 쓰는 것이다 약속하듯
python에서도 상수/변수의 자료형에 따라서 처리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예시화면>
현재 여러분이 아셔야하는 자료형은 4가지 정도 입니다.
1. 문자열(str) - " "(큰따옴표) 또는 ' '(작은따옴표) 또는 """ """(3개) 또는 ''' '''(3개) 로 표시한다.
숫자를 감싸든, 참/거짓 값을 감싸더라도 문자열로 취급된다. ex>''3.14''- 자료형: 문자열
2. 정수(int) - 일반적으로 계산할 때 사용하는 숫자
3. 실수(float) - 소수점을 포함한 숫자
4. 참/거짓(bool) - 논리값, 참과 거짓을 표시한다. True/False 가 있으며, 첫번째 글자를 대문자를 해야 적용된다.
1~3번 같은 경우는 좀 이해될 수 있는데 4번은 무엇인지 갸웃할 수 있어요
프로그래밍에서는 미로에서 길을 찾듯, 또는 무언가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은 10보다 큰 숫자인가요? 와 같은 말이죠.
그랬을 때 각 조건에 맞아서 그 문장이 맞는 말(True)인지 틀린 말(False)인지 구분하여 결과를 내어주어야만 합니다.
이런 자료형을 bool 자료형이라고 하고, True, False로 표현하죠.
더 자세한 얘기는 직접 사용하게 되는 if 문 파트에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네 가지를 기본 자료형이라고 하고, 추후에 응용 자료형 도 있지만, 나중에 알기로 할께요!
이러한 값(상수)들은 대입된 변수가 동일한 값을 가지는 것처럼, 자료형도 동일하게 가져갑니다!
그래서 각 값과 변수의 자료형을 확인하고 싶다면 type 함수를 사용하면 되요!
아직까지는 말로 설명되었기에 이해가 되지 않은 것이 많을 수 있어요.
기초 0번의 글들은 쓰윽 한 번 읽고, 추후 코딩을 좀 시작한 후에 다시 보시면 아, 이런 말이였구나 하는 것이 많을 겁니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하잖아요? 그 때가 곧 오길 바라며 이 정도로 마치겠습니다!
안녕!